한화ENG

공지사항 목록

인간은 어떻게 글을 읽을 수 있지?

작성자
지효니효닝5
작성일
19-10-02 21:49
조회
450

본문

인간은 어떻게 글을 읽는가

 

우리는 지치지 않고 글자를 빨아들인다. 취미가 독서가 아니어도 상관 없다. 스마트폰 화면을 통해서 글을 읽고, 길거리 간판을 볼 때도 글을 자동으로 읽는다. 심지어 우리가 글을 읽고 싶지 않아도 글은 우리에게 읽.힌.다. 우리가 글을 읽는 일은 마치 그 작동원리를 생각하지도 할 필요도 없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숨쉬는 것 같은 일이다. 우리는 그 메커니즘에 관해 조금도 의심하지 않고 ‘그냥’ 자연스럽게 읽는다.

 

프랑스의 신경학자 스타니슬라스 드앤(Stanislas dehaene)의 [글 읽는 뇌] (학지사, 2017)는 우리가 어떻게 글을 읽을 수 있는지에 관해 탐구하는 책이다. 드앤은 우리가 눈을 통해 글을 읽는 행동에서 시작하여, 뇌에서 문자를 인식하고 그것을 발음하는 일, 그리고 그 문자의 의미와 연결시키는 법, 문자의 진화적 기원과 역사적 기원을 추적하고 아동의 문자 학습과 난독증까지 차근차근 설명한다. 그 중 내게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 하나만 소개해본다.

 

인간은 어떻게 글을 읽을 수 있지?

먼저 읽기의 신경적 기초는 제법 간단하다. 뇌 영상 기술이 발전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글을 읽을 때 공통적으로 활성화되는 부위를 대략적으로 읽기에 관여하는 곳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좌뇌의 후두측두부(left occipitotemporal region)에 위치한 이 곳은 추상화된 문자 기호를 판별하는 역할을 하는데, 드앤은 이를 ‘문자상자(letter box)’라고 부른다. 이 문자 상자는 놀랍도록 문자를 잘 기억해서, 서체나 크기의 차이를 모두 무시하고 핵심적 형태만 파악하여 음소와 의미를 담당하는 뉴런을 활성화시킨다.

 

만약 뇌졸중 등의 사고로 문자상자가 손상되거나 절개될 경우, ‘실독증’이라고 하는 읽기 장애가 생기는데 흥미로운 것은 숫자를 읽고 쓰는 작업은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종이에 아무거나 쓴다고 다 같은 게 아니고, 우리 뇌는 숫자와 글자를 분명히 다르게 처리한다는 증거다.

 

안구가 글자를 인식해서 문자상자가 점화되면, 뇌는 빠르게 두 가지 경로로 지금 읽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숙달된 성인의 읽기 능력은 굉장히 빨라서 단어를 그 철자로서 병렬적으로 동시에 파악하여 한 번에 인지한다. 예컨대 ‘병렬적인’이라는 단어를 봤을 때 ‘병.렬.적.인.’으로 읽지 않고 동시에 네 글자를 처리하여 ‘병렬적인’이라는 통합된 단어로 처리한다는 것이다.

한화ENG


사업자 등록번호 : 830-59-00243 / 대표이사 : 박경애
TEL : 052-246-9393 / E-MAIL:hjt15@naver.com
Copyright ⓒ 2016 KKNANBANG.COM ALL RIGHTS RESERVED.